조지프 콘래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프 콘래드는 폴란드 출신의 영국 소설가로, 해양을 배경으로 인간의 심리, 제국주의, 식민주의 등을 탐구한 작품으로 20세기 영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1857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나 선원 생활을 거쳐 30대 후반에 작가로 데뷔했으며, 대표작으로 《어둠의 심연》, 《로드 짐》, 《노스트로모》 등이 있다. 영어에 능숙하지 않았음에도 독창적인 문체를 구사했으며, 인상주의, 상징주의 기법과 비선형적 서술 방식을 통해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그의 작품은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으나, 오늘날까지 영화, 연극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여행 작가 -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는 폴란드의 저널리스트, 작가, 시인, 사진작가로, 제3세계를 취재하며 전쟁, 혁명, 빈곤 등 사회 현상을 기록하고 문학적 르포르타주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폴란드의 여행 작가 - 카지미에시 노바크
카지미에시 노바크는 1931년부터 1936년까지 자전거, 도보, 말, 배, 낙타를 이용하여 리비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굴라스 곶까지 약 40,000km를 혼자 여행한 폴란드인이다. - 영국의 여행 작가 - V. S. 나이폴
트리니다드 토바고 출신의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V. S. 나이폴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 후 작가로 활동하며 식민주의 유산, 종교, 정체성 등을 탐구한 작품들로 200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영국의 여행 작가 - 아서 쾨슬러
아서 쾨슬러는 헝가리 출신의 작가이자 언론인으로, 소설 《한낮의 어둠》으로 유명하며 공산주의, 반공산주의 등 다양한 사상에 관여했고, 말년에 파킨슨병과 백혈병으로 고통받다 아내와 함께 자살했다. - 국제펜클럽 - 조지 버나드 쇼
아일랜드 출신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는 풍자와 기지가 넘치는 희곡 작품과 날카로운 비평, 사회주의 운동 참여로 20세기 연극과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국제펜클럽 - 하인리히 뵐
하인리히 뵐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전쟁의 참상과 전후 독일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조명했으며, 197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고 국제 펜클럽 회장을 역임하며 탄압받는 작가와 지식인들을 옹호했다.
조지프 콘래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유제프 테오도르 콘라트 코제니오프스키 |
출생일 | 1857년 12월 3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현 우크라이나) 키이우 현베르디치우 |
사망일 | 1924년 8월 3일 |
사망지 | 영국 잉글랜드켄트 주비숍스본 |
국적 | 폴란드-영국 |
직업 | 소설가, 단편 소설가, 수필가 |
![]() | |
![]() | |
작품 활동 | |
활동 기간 | 1895년–1923년 |
장르 | 소설 |
사조 | 문학적 인상주의 모더니즘 신낭만주의 |
대표 작품 | 암흑의 핵심 (1899년) 로드 짐 (1900년) 노스트로모 (1904년) 비밀 요원 (1907년) |
데뷔 작품 | 올메이어의 어리석음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제시 조지 (1896년 3월 24일 결혼) |
자녀 | 2명 |
부모 | 아폴로 코제니오프스키, 에바 보브로프스카 |
기타 정보 |
2. 생애
조지프 콘래드는 1857년 12월 3일 러시아 제국령 우크라이나 베르디치우프에서 폴란드 독립투사이자 문필가인 아버지 아폴로 코제니오프스키와 어머니 에바 코제니오프스키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당시 폴란드는 러시아의 지배하에 있었으나, 아버지의 영향으로 폴란드어로 교육받고 프랑스어 문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콘래드는 12세에 고아가 되는 등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고, 16세에 학업을 중단하고 선원이 되기 위해 프랑스 마르세유로 갔다. 프랑스에서 수습 선원으로 4년간 일하며 도박 빚으로 권총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다.
이후 영국으로 건너가 1880년과 1884년에 각각 이등항해사와 일등항해사 자격시험에 합격했고, 세계 여러 나라를 항해했다. 1886년 8월 영국으로 귀화하고, 11월에는 일반선장 자격시험에 합격했다. 1894년 1월, 콘래드는 선원 생활을 마감하고 37세의 늦은 나이에 작가로서 제2의 인생을 시작했다.
조지프 콘래드라는 영어식 이름으로 개명하고, 1895년 4월 첫 소설 《올메이어의 어리석은 행동》을 출간했다. 1896년 3월에는 제시 조지(Jessie George)와 결혼했다. 콘래드는 20여 권의 소설을 남겼는데, 해양 문학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들이 많다. 주요 작품으로는 《어둠의 심연》(1899), 《로드 짐》(1900), 《노스트로모》(1904), 《서구인의 눈으로》(1911) 등이 있다.
1924년 8월 3일, 콘래드는 켄트 주의 비숍번에서 67세의 나이에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 (폴란드와 망명)



조지프 콘래드는 1857년 12월 3일, 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우크라이나 베르디치우프(Berdyczów)에서 태어났다. 이 지역은 한때 폴란드 왕국의 일부였다.[5] 그는 몰락한 슈라흐타(폴란드 귀족)이자 소지주였던 아버지 아폴로 코제니오프스키와 어머니 에바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코제니오프스키가는 1830년 11월 봉기에 가담한 혐의로 토지를 몰수당했다. 아버지 아폴로는 러시아 지배 하의 폴란드에서 독립 운동을 지도하다가 콘래드가 4세가 되던 해 발각되어 바르샤바 요새에 투옥되었다. 유죄가 확정되자 이듬해 가족과 함께 북부 러시아의 볼로그다로 유배되었다. 1863년에는 우크라이나 체르니히우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어머니는 결핵에 걸렸다. 1865년 일시적으로 영지로 돌아왔을 때 어머니는 사망했다.[8]
아버지는 문학 연구자이기도 했으며, 프랑스 문학, 영국 문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애국적인 시와 희곡을 집필하고 출판하기도 했다. 어린 시절의 콘래드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셰익스피어나 디킨스, 위고와 같은 작가, 그리고 폴란드의 고전 문학에 친숙해졌으며, 프랑스어를 배우고 해양 문학을 접하며 감명을 받았다. 특히 그는 폴란드 낭만주의 시를 읽었는데, 반세기 후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나의 작품에 나타나는 폴란드성은 아담 미츠키에비치와 율리우시 스워바키에서 비롯된다. 아버지는 내게 미츠키에비치의 ''판 타데우시''를 소리내어 읽어주셨고 나도 소리내어 읽도록 하셨다... 나는 미츠키에비치의 ''콘라드 발렌로드'' [그리고] ''그라지나''를 더 좋아했다. 나중에 나는 스워바키를 더 좋아했다. 왜 스워바키를 좋아하는지 아시죠?... [그는] 모든 폴란드의 영혼이다."[6]
1868년, 외가인 보브로프스키가의 노력으로 유배가 풀려 서우크라이나 르비우로 이주할 수 있게 되었지만, 결핵을 앓고 있던 아버지는 그 이듬해 크라쿠프로 이주한 직후 사망했다. 콘래드는 외삼촌인 타데우시 보브로프스키에게 맡겨져, 그곳에서 조모와 함께 살면서 가정교사에게 교육을 받았다.
2. 2. 청년기 (선원 생활)
1874년, 16세의 콘래드는 학업을 중단하고 선원이 되기 위해 프랑스 마르세유로 갔다. 그는 프랑스 상선에서 수습 선원으로 일하며 서인도 제도의 마르티니크 등지를 항해했고, 때로는 콜롬비아나 베네수엘라로 밀수품을 운반하는 일에도 관여했다.[68] 회고록에 따르면, 콘래드가 탔던 배는 무기 밀수나 국가 간의 정치적 음모에도 연루되어 있었다.1878년, 20세가 되자 그는 러시아의 징병을 기피한 것으로 간주되어 프랑스 배를 탈 수 없게 되었고, 영국 배로 옮겨 근무했다. 이후 영어를 배우면서 몰타, 이스탄불, 아조프 해 등을 거쳐 영국 본토의 서퍽 로우 로프트에 도착하여 석탄 운반선에 승선, 그 후 시드니 등으로 항해했다. 런던의 훈련 학교에 다니며 2등 항해사 자격을 취득, 인도, 싱가포르 등으로 항해했다.[68] 이때 얻은 견문은 후일 콘래드의 소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84년에는 1등 항해사 시험에 합격했고, 1886년에는 선장 시험에 합격하고 영국 국적을 취득하여 조지프 콘래드로 개명했다.

1890년에는 벨기에의 상아 채취 회사 배의 선장이 되어 콩고강 취항선에 승선[69], 육로로 레오폴드빌(킨샤사)까지 이동, 배를 갈아타고 키상가니에 도착했다. 그 후 병에 걸려 1891년 브뤼셀을 거쳐 런던으로 돌아왔다. 같은 해 통풍, 신경통으로 인한 오른손 통증, 말라리아 재발로 수개월 입원했으며, 삼촌의 조언에 따라 스위스 온천에서 요양했다.[70] 이후 영국과 호주를 왕복하는 여객선을 타거나, 선원 이외의 일을 했다.
1893년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돌아오는 배에는, 훗날 작가가 되는 존 골즈워디와 에드워드 런슬롯 샌더슨 두 명의 젊은 영국인이 타고 있었는데, 콘래드에게는 선원 외에 처음으로 우정을 맺은 영국인이었다.
2. 3. 작가 활동
1889년, 콘래드는 첫 소설 《올메이어의 어리석은 행동(Almayer's Folly)》 집필을 시작했다. 1894년에 선원 생활을 마감하고 작가로서 제2의 인생을 시작했다.[71] 1895년, 《올메이어의 어리석은 행동》이 출간되었다. 이 소설은 말레이시아를 무대로 한 이야기로, 러시아어, 폴란드어, 프랑스어를 사용하고 마지막으로 배운 영어로 쓰였다.1896년, 제시 조지(Jessie George)와 결혼하여 두 아들 보리스와 존을 두었다.[70] 1899년, 《어둠의 심연(Heart of Darkness)》을 발표했다. 이 소설은 영국 배 시대에 아프리카 콩고강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쓰였으며, 서양 문화의 어두운 측면을 묘사했다. 1900년에는 소설 《로드 짐(Lord Jim)》을 발표했다.
1904년, 남아메리카의 가상 국가를 무대로 한 정치 소설 대작 《노스트로모(Nostromo)》를 발표했다. 1907년에는 테러리스트를 소재로 한 《비밀요원(The Secret Agent)》을 발표했다.[72] 1911년, 《서구인의 눈으로(Under Western Eyes)》를 발표했다.[73]
2. 4. 말년
1914년, 콘래드는 가족과 함께 폴란드를 방문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휴양지인 자코파네로 옮겨 사촌 아니엘라 자고르스카(Aniela Zagórska)가 운영하는 펜션에 머물렀다. 이곳에는 정치가 유제프 피우수트스키나 피아니스트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등도 드나들었다. 또한 자고르스카는 자코파네로 피난해 있던 작가 스테판 제롬스키, Tadeusz Nalepiński, 인류학자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등에게 콘래드를 소개했다. 콘래드 가족은 11월에 영국으로 귀국했다.[7] 사촌이자 동명의 딸인 아니엘라 자고르스카 (콘래드의 조카)는 이후 1923-39년에 콘래드의 작품을 폴란드어로 번역했다.1919년과 1922년에는 유럽의 작가, 평론가들 사이에서 콘래드의 노벨 문학상 수상을 바라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1924년 램지 맥도널드 수상으로부터 기사 작위를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다. (이전에도 콘래드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더럼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리버풀 대학교, 예일 대학교로부터 명예 학위를 거절했다.)

1924년, 켄트 주의 비숍번에서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유해는 본명인 유제프 코제니오프스키라는 이름으로 캔터베리의 묘지에 매장되었다. 묘비에는 콘래드의 마지막 장편 소설 『''The Rover''』의 머리말에 인용된 에드먼드 스펜서의 『페어리 퀸』에서 발췌한 구절이 새겨져 있다.[7]
12년 후인 1936년에 아내 제시가 사망하여 같은 묘지에 안장되었다. 콘래드의 묘지는 1996년 영국 지정 건축물 2급으로 지정되었다.

3. 작품 세계
콘래드는 자신의 경험뿐만 아니라 과거 및 당대의 널리 알려진 사건이나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상상력을 발휘하여 작품을 썼다.[83] 예를 들어, 『로드 짐』의 전반부는 1880년 증기선 제다 호 침몰 사건을,[76] 후반부는 보르네오 섬 사라왁 왕국의 왕이 된 제임스 브룩의 생애를 소재로 했다.[77]
1904년작 『노스트로모』는 멕시코 만에서 들었던 은 절도 사건에서 힌트를 얻었고,[76] 파나마 운하를 둘러싼 미국과 콜롬비아의 관계를 배경으로 한다.[78] 이 작품은 20세기 영어 소설 최고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기도 한다.[74] 『서구인의 눈으로』는 1904년 러시아 제국 내상 뱌체슬라프 플레베 암살 사건을 모델로 했다.[76]
콘래드 작품 속 등장인물 대부분은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한다. 『올메이어의 어리석은 궁전』의 "William Charles Olmeijer"는 콘래드가 보르네오에서 만났던 인물이다.[76] 『태풍』의 "Captain McWhirr", 『청춘』의 "Captain Beard"와 "Mr. Mahon", 『그림자 선』의 "Captain Ellis" 등도 실존 인물의 이름을 빌려왔다.
콘래드는 일기나 노트를 남기지 않았지만, 리처드 컬이 콩고에서의 경험을 기록한 콘래드의 일기를 편집하여 사후 출간했고, 1978년에 더 완전한 판이 나왔다.[79][80]
3. 1. 주요 주제
콘래드의 작품은 주로 해양을 배경으로, 인간의 고립, 소외, 도덕적 갈등, 실존적 고뇌 등을 다룬다.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폭력성, 비인간성을 비판적으로 묘사한다. (예: 《어둠의 심연》) 서구 문명의 허위와 위선을 폭로하고, 근대성의 어두운 이면을 드러낸다. (예: 《노스트로모》, 《비밀요원》) 혁명, 테러리즘, 정치적 음모 등 당대의 사회적, 정치적 문제들을 다룬다. (예: 《서구인의 눈으로》, 《비밀요원》) 인간 내면의 심리적 갈등과 도덕적 딜레마를 탐구한다. (예: 《로드 짐》)3. 2. 문학적 특징
콘래드는 영어에 능통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영어로 작품을 써서 독특하고 인상적인 문체를 만들어냈다. 그의 작품은 인상주의적 묘사, 상징주의적 기법, 복잡한 서술 구조, 다층적인 시점 등을 특징으로 한다. 시간 순서를 따르지 않는 비선형적 서술 방식을 사용하여 독자에게 긴장감과 몰입감을 준다. '마로'(Marlow)라는 화자를 등장시켜 이야기를 전달하고 해석하는 역할을 맡긴다. (예: 《어둠의 심연》, 《로드 짐》)[83]콘래드는 영국 국내 생활보다는 해상이나 이국적인 땅에서의 생활에 대해 쓰는 경우가 많았다. 에세이 『바다의 거울』이 출판되었을 때, 프랑스어 번역가에게 보낸 편지에서 "평론가들은 나에게 칭찬을 퍼붓지만, '지상이 아닌 망망대해에 있다'는 속삭임이 내 귀에 들린다. 그들은 나를 바다 한가운데로 추방하고 싶어 한다"고 적었다.[70]
콘래드의 작품에는 그의 경험 외에도 과거 및 그 당시 널리 알려진 사건이나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한 것도 많지만, 사적과는 다른 독자적인 상상력으로 전개되고 있다.[83] 『로드 짐』의 전반부는 1880년의 증기선 제다 호 침몰 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으며,[76] 후반부는 보르네오 섬의 사라왁 왕국의 왕이 된 제임스 브룩의 생애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77]
1904년 발표된 『노스트로모』는 콘래드가 멕시코 만에 있을 때 들었던 은의 대규모 절도 사건에서 힌트를 얻었으며,[76] 또한 정치적으로는 당시 계획이 진행 중이던 파나마 운하를 둘러싼 미국과 콜롬비아의 관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78] 『노스트로모』를 20세기 영어 소설의 최고 걸작으로 평가하는 평도 있다.[74] 『서구인의 눈으로』에서는 1904년의 러시아 제국 내상 뱌체슬라프 플레베 암살이 모델이 되었다.[76]
등장인물의 대부분은 그가 실제로 만났던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올메이어의 어리석은 궁전』에 등장하는 "William Charles Olmeijer"도 콘래드가 보르네오에서 방문했던 인물이다.[76] 『태풍』의 "Captain McWhirr", 『청춘』의 "Captain Beard"와 "Mr. Mahon", 『그림자 선』의 "Captain Ellis" 등에서도 실존 인물의 이름을 빌려왔다.
『청춘』, 『어둠의 심연』, 『로드 짐』에는 공통의 화자 찰스 마로가 등장하며, 콘래드는 처음 이 세 권을 한 권으로 출판하려 했지만, 『로드 짐』이 예정보다 길어져 그렇게 할 수 없었다. 마로는 훗날 작품 『기회』에도 등장한다.[83]
4. 한국과의 관계
조지프 콘래드의 작품은 일제강점기에 한국에 처음 소개되었다. 1926년, 《알메이어의 어리석음》(Almayer's Folly영어)이 한국어로 처음 번역되어 출판되었다.[9] 1940년에는 《청춘》이 번역, 출판되었다.
해방 이후, 콘래드의 주요 작품들이 한국어로 번역, 출판되면서 한국 독자들에게 널리 읽히게 되었다. 특히 《어둠의 심연》(Heart of Darkness영어)은 식민지 경험을 겪은 한국 사회에서 제국주의와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으로 주목받았다.
한국의 문학 연구자들은 콘래드의 작품을 통해 제국주의, 식민주의, 탈식민주의, 모더니즘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한국의 소설가, 비평가들은 콘래드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한국 사회의 현실과 역사적 경험을 성찰하는 작품을 창작하기도 한다.
5. 영향 및 유산
콘래드는 20세기 초 영국 문학에서 모더니즘 소설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56] 그의 소설 기법과 반영웅적인 등장인물은 T. S. 엘리엇, 마리아 돔브로프스카, F. 스콧 피츠제럴드, 윌리엄 포크너, 어니스트 헤밍웨이,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앙드레 말로, 조지 오웰, 그레이엄 그린, 윌리엄 골딩, 윌리엄 버로스, 솔 벨로우,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존 르 카레, V. S. 나이폴, J. M. 쿠체, 살만 루시디 등 많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콘래드는 헨리 제임스, 존 골즈워디, H. G. 웰스(콘래드는 그를 "앞으로 올 시대의 역사가"라고 불렀다.[57]), 조지 버나드 쇼 등 당대 유명 작가들과 교류했다. 1900년대 초 콘래드는 포드 매독스 포드와 공동으로 단편 소설 시리즈를 썼다.[58]
콘래드의 작품은 영화, 연극 등 다양한 예술 장르로 각색되었다. 특히, 1979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영화 《지옥의 묵시록》은 콘래드의 《어둠의 심연》을 각색한 작품이다.
1975년, 나이지리아 작가 치누아 아체베는 에세이 〈아프리카의 이미지: 콘래드의 '암흑의 핵심' 속 인종차별주의'〉를 발표하여 콘래드를 "철저한 인종차별주의자"라고 비판했다.[42] 아체베는 《암흑의 핵심》이 "인간성을 훼손하고, 인류의 일부를 비인간화하는 소설"이기 때문에 위대한 예술 작품으로 간주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42] 탈식민주의 담론의 획기적인 이정표인 아체베의 에세이는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그가 제기한 질문들은 이후 콘래드에 대한 대부분의 문학 비평에서 다루어졌다.[44][45][46]
그러나 아체베의 비평가들은 콘래드가 아프리카인들을 동정적으로 묘사하고, 유럽 식민주의자들의 고귀한 목표라고 여겨지는 것을 비웃고 비난함으로써 백인의 도덕적 우월성에 대한 회의론을 드러낸다고 반박한다.[48] 콘래드 학자 피터 퍼초는 "소설 어디에서도 콘래드나 그의 서술자 중 그 누구도, 인격화된 것이든 아니든, 유전적 또는 생물학적 차이에 근거하여 유럽인의 우월성을 주장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51][52]
콘래드는 폴란드 출신 작가로서, 폴란드 문학과 영국 문학을 잇는 가교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폴란드 인민 공화국에서는 콘래드의 작품 번역본이 공개적으로 출판되었지만, 1980년대에는 《서구인의 눈으로》가 지하 "bibuła"로 출판되었다.[59] 콘래드는 폴란드의 문장인 ''나우렌치''를 사용했다.
1924년, 콘래드는 램지 맥도널드 총리가 제안한 영국 기사 작위를 거절했다. 그는 이미 케임브리지, 더럼, 에든버러, 리버풀, 예일 대학교로부터 명예 학위를 거절한 바 있다.
콘래드의 작품은 오늘날에도 전 세계적으로 번역, 출판되며, 문학 연구자들과 독자들에게 끊임없이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게 하는 고전으로 남아 있다.
6. 주요 작품 목록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1895 | 앨머의 광기 | 'Almayers Folly'' | |
1896 | 섬의 추방자 | An Outcast of the Islands | |
1897 | 나르시스호의 검둥이 | 'The Nigger of the Narcissus''' | |
1899 | 어둠의 심연 | Heart of Darkness | |
1900 | 로드 짐 | Lord Jim | |
1901 | 상속자들 (조지프 콘래드와 포드 매덕스 포드) | The Inheritors | 포드 매덕스 포드와 공동 집필 |
1902 | 태풍 (소설) | Typhoon | 1899년 시작 |
1902 | 테더의 종말 | The End of the Tether | 청춘, 이야기 한 편과 두 개의 다른 이야기(Youth, a Narrative and Two Other Stories)에 수록 |
1903 | 로맨스 (소설) | Romance | 포드 매덕스 포드와 공동 집필 |
1904 | 노스트로모 | Nostromo | |
1907 | 비밀 요원 | The Secret Agent | |
1911 | 서구의 눈 아래 (소설) | Under Western Eyes | |
1913 | 기회 (콘래드 소설) | Chance | |
1915 | 승리 (소설) | Victory | |
1917 | 그림자 선 (소설) | The Shadow Line | |
1919 | 황금의 화살 | The Arrow of Gold | |
1920 | 구조 (콘래드 소설) | The Rescue | |
1923 | 범죄의 본질 | The Nature of a Crime | 포드 매덕스 포드와 공동 집필 |
1923 | 방랑자 (소설) | The Rover | |
1925 | 서스펜스 (소설) | Suspense: A Napoleonic Novel | 미완성, 사후 출판 |
콘래드는 소설 외에도 여러 편의 단편 소설과 에세이를 발표했다. 콘래드의 작품 목록은 조지프 콘래드 저서 목록에서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6. 1. 장편 소설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1895 | 앨머의 광기 | 'Almayers Folly'' | |
1896 | 섬의 추방자 | An Outcast of the Islands | |
1897 | 나르시스호의 흑인 | 'The Nigger of the Narcissus''' | |
1899 | 암흑의 핵심 | Heart of Darkness | |
1900 | 로드 짐 | Lord Jim | |
1901 | 상속자들 (조지프 콘래드와 포드 매덕스 포드) | The Inheritors | 포드 매덕스 포드와 공동 집필 |
1902 | 태풍 (소설) | Typhoon | 1899년 시작 |
1902 | 테더의 종말 | The End of the Tether | 청춘, 이야기 한 편과 두 개의 다른 이야기(Youth, a Narrative and Two Other Stories)에 수록 |
1903 | 로맨스 (소설) | Romance | 포드 매덕스 포드와 공동 집필 |
1904 | 노스트로모 | Nostromo | |
1907 | 비밀 요원 | The Secret Agent | |
1911 | 서구의 눈 아래 (소설) | Under Western Eyes | |
1913 | 기회 (콘래드 소설) | Chance | |
1915 | 승리 (소설) | Victory | |
1917 | 그림자 선 (소설) | The Shadow Line | |
1919 | 황금의 화살 | The Arrow of Gold | |
1920 | 구조 (콘래드 소설) | The Rescue | |
1923 | 범죄의 본질 | The Nature of a Crime | 포드 매덕스 포드와 공동 집필 |
1923 | 방랑자 (소설) | The Rover | |
1925 | 서스펜스 (소설) | Suspense: A Napoleonic Novel | 미완성, 사후 출판 |
6. 2. 단편 소설 및 중편 소설
콘래드는 여러 단편 소설과 중편 소설을 썼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제목 | 원제 | 발표 연도 | 비고 |
---|---|---|---|
검은 짝패 | The Black Mate | 1886년 집필, 1908년 출판 | 사후 『소문의 이야기』(1925)에 수록 |
바보들 | The Idiots | 1896년 | 『더 사보이』 게재, 『불안의 이야기』(1898) 수록 |
석호 | The Lagoon | 1896년 집필, 1897년 | 『콘힐 매거진』 게재, 『불안의 이야기』(1898) 수록 |
진보의 전초 기지 | An Outpost of Progress | 1896년 집필, 1897년 | 『코스모폴리스』 게재, 『불안의 이야기』(1898) 수록, 콘래드 선정 "최고의 소설" |
귀환 | The Return | 1897년 | 『불안의 이야기』(1898) 수록 |
카라인: 기억 | Karain: A Memory | 1897년 | 『블랙우드 매거진』 게재, 『불안의 이야기』(1898) 수록 |
청춘 | Youth | 1898년 | 『청춘, 이야기, 그리고 다른 두 이야기』(1902) 수록 |
팔크 | Falk | 1901년 | 『태풍과 다른 이야기』(1903) 수록 |
에이미 포스터 | Amy Foster | 1901년 |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게재, 『태풍과 다른 이야기』(1903) 수록 |
내일 | To-morrow | 1902년 | 『더 팔 몰 매거진』 연재, 『태풍과 다른 이야기』(1903) 수록 |
가스파르 루이스 | Gaspar Ruiz | 1904-5년 집필, 1906년 | 『더 스트랜드 매거진』 게재, 『여섯 편의 이야기』(1908/1915) 수록 |
아나키스트 | An Anarchist | 1905년 집필, 1906년 | 『하퍼스 매거진』 연재, 『여섯 편의 이야기』(1908/1915) 수록 |
고발자 | The Informer | 1906년 | 『하퍼스 매거진』 게재, 『여섯 편의 이야기』(1908/1915) 수록 |
야수 | The Brute | 1906년 | 『데일리 크로니클』 게재, 『여섯 편의 이야기』(1908/1915) 수록 |
결투: 군사 이야기 | The Duel: A Military Story | 1908년 | 영국/미국 연재, 『여섯 편의 이야기』(1908) 수록 |
일 콘데 | Il Conde | 1908년/1909년 | 잡지 게재, 『여섯 편의 이야기』(1908/1915) 수록 |
비밀 동료 | The Secret Sharer | 1909년 집필, 1910년 | 『하퍼스 매거진』 게재, 『땅과 바다 사이』(1912) 수록 |
로마 공자 | Prince Roman | 1910년 집필, 1911년 | 『옥스퍼드 앤드 케임브리지 리뷰』 게재, 사후 『소문의 이야기』(1925) 수록 |
행운의 미소 | A Smile of Fortune | 1910년 집필, 1911년 | 『런던 매거진』 게재, 『땅과 바다 사이』(1912) 수록 |
7개의 섬의 프레야 | Freya of the Seven Isles | 1910-1911년 집필, 1912년 | 잡지 게재, 『땅과 바다 사이』(1912) 수록 |
파트너 | The Partner | 1911년 | 『조류 속에서』(1915) 게재 |
두 마녀의 여관 | The Inn of the Two Witches | 1913년 | 『조류 속에서』(1915) 게재 |
달러 때문에 | Because of the Dollars | 1914년 | 『조류 속에서』(1915) 게재 |
말라타의 농부 | The Planter of Malata | 1914년 | 『조류 속에서』(1915) 게재 |
전사의 영혼 | The Warrior's Soul | 1915-1916년 집필, 1917년 | 『랜드 앤 워터』 게재, 사후 『소문의 이야기』(1925) 수록 |
이야기 | The Tale | 1916년 집필, 1917년 | 『더 스트랜드 매거진』 게재, 사후 『소문의 이야기』(1925) 수록 |
6. 3. 에세이
- 독재와 전쟁(Autocracy and War) (1905)
- 바다의 거울(The Mirror of the Sea) (1906)
- 개인적인 기록(A Personal Record) (1912)
- 첫 소식(The First News) (1918)
- 충돌의 교훈(The Lesson of the Collision) (1919)
- 폴란드 문제(The Polish Question) (1919)
- 전쟁의 충격(The Shock of War) (1919)
- 삶과 문학에 대한 노트(Notes on Life and Letters) (1921)
- 내 책에 대한 노트(Notes on My Books) (1921)
- 마지막 에세이(Last Essays) (1926)
- 콩고 일기 및 기타 미수록 작품(The Congo Diary and Other Uncollected Pieces) (1978)
참조
[1]
서적
Timelines of the Arts and Literature
[2]
서적
Timelines of the Arts an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3]
서적
The collected letters of Joseph Conra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Joseph Conrad
Routledge
[5]
서적
Joseph Conrad and Africa
Kenya Literature Bureau
[6]
서적
Listy J. Conrada
[7]
웹사이트
Jak się nazywał Joseph Conrad? ("What Was Joseph Conrad's Name?")
http://www.nbp.pl/ak[...]
[8]
백과사전
Korzeniowski, Apollo
Polska Akademia Nauk
[9]
웹사이트
Conrad in Corsica
https://eddieplayfai[...]
2014-08-06
[10]
학술지
Echoes from Konrad Wallenrod in ''Almayer's Folly'' and ''A Personal Record''
[11]
서적
Cross-Cultural Encounters in Joseph Conrad's Malay Fiction
Palgrave
[12]
학술지
Imperialism Tempered by Expediency: Conrad and ''The Outlook''
2009-03-01
[13]
뉴스
A compact portrait of a troubled author in John Stape's ''The Several Lives of Joseph Conrad''
http://seattletimes.[...]
2008-03-14
[14]
학술지
The Death of the Writer
https://www.australi[...]
2011-05-01
[15]
웹사이트
Westbere House
https://historicengl[...]
2023-06-24
[16]
서적
Conrad and Women
Clarendon Press
[17]
웹사이트
https://www.gutenber[...]
[18]
NHLE
2023-11-21
[19]
서적
Bolesław Prus, 1847–1912: A Calendar of His Life and Work
Państwowy Instytut Wydawniczy
[20]
서적
H.G. Wells: a Biography
Simon and Schuster
[21]
웹사이트
Canterbury City Cemetery: Joseph Conrad Memorial, Canterbury, Kent
http://www.britishli[...]
British Listed Buildings
2021-01-16
[22]
서적
Joseph Conrad: a Biography
Charles Scribner's Sons
[23]
서적
Three Great Tales
Vintage Books
[24]
서적
Lord Jim
https://books.google[...]
Broadview Press
2000-11-07
[25]
서적
The Secret Agent
Signet
[26]
서적
Castles in Spain & Other Screeds
Heinemann
[27]
서적
Last Essay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Marginal voices, marginal forms: diaries in European literature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Rodopi
2011-04-13
[29]
서적
Heart of Darkness: With the Congo Diary
Penguin Books
[30]
서적
Heart of Darkness and the Congo Diary
Penguin Books
[31]
서적
Joseph Conrad and the Fiction of Autobiogra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32]
서적
Major Barbara
https://books.google[...]
Brentano's
[33]
웹사이트
Regions of the Mind: The Exoticism of Greeneland
http://www.dur.ac.uk[...]
2021-01-11
[34]
서적
Bicultural Literature and Film
Routledge
[35]
서적
Conrad and Language
Edinburgh University Press
[36]
서적
A Conrad Chronology
Palgrave Macmillan
[37]
서적
Between Sittings: An Informal Autobiography of Jo Davidson
Dial Press
[38]
서적
The Story of Language
New American Library
[39]
서적
The Collected Letters of Joseph Conra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서적
The Collected Letters of Joseph Conra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서적
Conrad: The Critical Heritage
https://archive.org/[...]
Routledge & Kegan Paul
[41]
서적
Corrections of Taste
2022-10-06
[42]
웹사이트
Two Readings of Heart of Darkness
http://www.qub.ac.uk[...]
Queen's University Belfast
[43]
서적
Scottish fiction and the British Empire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Joseph Conra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서적
Postcolonial criticism: history, theory and the work of fiction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46]
학술지
A Picture of Europe: Possession Trance in Heart of Darkness
https://lirias.kuleu[...]
[47]
학술지
The Moral Conditions for Genocide in Joseph Conrad's "Heart of Darkness"
2005-12-01
[48]
학술지
'A Bloody Racist': About Achebe's View of Conrad
[49]
웹사이트
Heart of Darkness, ''Book I''
http://pd.sparknotes[...]
2010-12-28
[50]
서적
History of the Congo Reform Movement
Oxford UP
[51]
서적
Envisioning Africa: Racism and Imperialism in Conrad's Heart of Darknes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52]
학술지
Conrad Scholarship Under New-Millennium Western Eyes
https://digitalcommo[...]
2003-06-01
[53]
학술지
Joseph Conrad: Question of Racism and the Representation of Muslims in his Malayan Works
http://postcolonial.[...]
[54]
웹사이트
Plaque honoring Joseph Conrad
http://z.about.com/d[...]
2009-01-01
[55]
웹사이트
Судьба памятника Джозефу Конраду в Вологде остается загадкой
http://www.vologda.a[...]
2016-06-24
[56]
백과사전
[57]
학술지
The Future Was His (review of Sarah Cole, ''Inventing Tomorrow: H.G. Wells and the Twentieth Century''
2020-07-23
[58]
웹사이트
Collaborative Literature
http://www.dukemagaz[...]
Dukemagazine.duke.edu
2012-03-18
[59]
서적
Poza granicą myśli--"Wszystko" oraz publicystyka i poezja
https://books.google[...]
Wydawnictwo "Lexis"
2013-06-15
[60]
서적
Genius Friend: G.B. Edwards and ''The Book of Ebenezer Le Page''
Blue Ormer Publishing
[61]
방송
Philip Roth: Unmasked
[62]
학술지
Joseph Conrad, ''Suspense'', ed. Gene E. Moo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http://josephconrads[...]
The Joseph Conrad Society
[63]
웹사이트
An Outpost of Progress
https://www.imdb.com[...]
2016-03-17
[64]
웹사이트
'Suite from Heart of Darkness' first London performance
http://www.cadoganha[...]
Cadogan Hall
2013-03-18
[65]
문서
인구의 대부분은 우크라이나인이었지만, 역사적 경위로 토지는 폴란드의 슈흐라타가 대부분 소유하고 있었다.
[66]
문서
이 건물은 원래 프레데릭 쇼팽의 여동생 이자벨라가 남편 펠릭스 발친스키와 함께 소유하고 있던 것이며, 콘라드가 이사오기 17년 전인 1844년에는 쇼팽의 아버지 니콜라 쇼팽이 여기서 사망했다. 발친스키 가족은 1850년에 이 건물을 매각했다. 2011년 현재는 네슬레의 커피 매장 네스프레소 부티크와 바이오 의료 관련 기업의 사무실이 입주해 있다.
[6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68]
서적
콘라드 단편집
ちくま文庫
[69]
서적
암흑의 심장
岩波文庫
[70]
서적
Joseph Conrad: A Life
Camden House
[71]
서적
文化果つるところ
角川文庫
1953
[72]
서적
密偵
岩波文庫
1990
[73]
서적
ロード・ジム
河出書房新社
2011
[74]
서적
青春・台風
新潮文庫
1967
[75]
웹사이트
Canterbury City Cemetery: Joseph Conrad Memorial, Canterbury, Kent
http://www.britishli[...]
[76]
서적
Joseph Conrad
Longman London
1968
[77]
서적
Lord Jim
Broadview Press
2000-11-07
[78]
논문
The Heart of Conrad
Penguin
2018-02-22
[79]
서적
Reminiscences of Conrad: 1924
Heinemann
1928
[80]
서적
Marginal voices, marginal forms: diaries in European literature and history
Rodopi
1999
[81]
서적
コンラッド短篇集
岩波文庫
2005
[82]
서적
西欧人の眼に
岩波文庫
1999
[83]
서적
ロード・ジム
河出書房新社
2011
[84]
서적
ロード・ジム、勝利、青春
[85]
서적
秘密をともにする者
中央公論社
1966
[86]
서적
ロード・ジム
河出書房新社
2011
[8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